청계천 8 (청계 6 가 ) 오간수교와 그 아래에 있는 징검다리 신평화시장 아래에 있는 징검다리에서 본 맑은내 다리 오간수문 터. 원래, 오간수문은 흥인지문과 광희문 사이의 성곽 아래에 설치 되었던 문이나, 성벽과 함께 오간수문도 헐렸다. 오간수교 上流, 평화시장 아래에 있는 수변 무대와, 10 m 높이로 치솟는 하천분수... 되살아 난 청계천 2005.11.18
청계천 7 ( 청계천 5가 ~ 6가 ) 전태일 거리 , 청계 5가 와 6 가, 마전교에서 오간수교 에 이르는 평화시장 앞길이 전태일 거리라고 한다. 이곳의 청계천변 인도(人道)에는 ,기부금을 낸 시민의 이름과 소망이 적혀 있는 6,000 여개의 동판 블럭이 바닥에 깔려 있다. 버들���리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전태일 像 오간수교 쪽 징검다리.. 되살아 난 청계천 2005.11.18
청계천 6 ( 청계천 5 가 ) 마전교 上流 휴계공간에 있는 옥류천. 창덕궁 옥류천의 이미지를 형상화 했다고 하며. 옛 청계천에 유입되던 물길의 흔적을 남기고자 설치한 것이다. 마전교 下流,의 휴게공간 , 옹벽 난간에 한가롭게 앉아 있는 비들기 들 마전교 위에서 본 나래교 마전교 아래 징검다리에서 본 나래교. 나래교 되살아 난 청계천 2005.11.18
청계천 5 (청계 4가 ~ 5 가 ) 세운교 위에서 본 배오개 다리 세운상가 앞 청계천 위를 가로 지르는 세운교, 폭이 매우 넓다. 배오개 다리 위에서 본 세운교 배오개 다리 위에서 본 새벽 다리 마전교에서 본 새벽다리 마전교에서 본 나래교 되살아 난 청계천 2005.11.18
청계천 4 ( 청계 2 가 ~ 4 가 ) 베를린 광장.--삼일교가 있는 부근의 한화빌딩 앞 모퉁이에 조성되어 있는 광장으로 독일 통일의 상징인 베를린 장벽이 있다. 이 장벽 하나가, 높이가 3.5 m , 폭이 1.2 m , 두께는 0.4 m 이다. 앞에 있는 곰은 베를린시의 상징이라고 한다. 베를린시로 부터 기증받은 이 장벽은 1989년, 독일 통일 당시, 베를린.. 되살아 난 청계천 2005.11.18
청계천 3 ( 청계 1 가 ) 광통교 쪽에서 본 광교. 이 다리는 본래 광교가 있던 자리라는 의미만 있고 옛 광교의 모습은 광통교가 재현하고 있다. 광교 쪽에서 본 장통교. 장통교는 조선시대 5 부 52 방 가운데 하나인 장통방이 있던 자리라 하여 붙여 진 이름이라고 한다. 앞에 보이는 것은 장통교, 왼쪽에 청계천으로 합류하는 .. 되살아 난 청계천 2005.11.18
청계천 2 ( 광통교 ) 광통교 아래에서 올려다 본 광통교 밑 부분의 일부 광통교 밑 부분을 아래 쪽에서 올려다 본 것임 모전교 쪽에서 본 광통교, 복원된 청계천의 폭이 넓어서, 광통교 본래의 자재는 반쯤만 쓰였고, 나머지 부분(사진의 오른 쪽)은 현대식 다리로 장식하고 있다. 조선시대 청계천 공사의 역사 속으로 신 병.. 되살아 난 청계천 2005.11.18
청계천 1 ( 청계광장 , 광통교 ) 청계광장--- 앞에 흐르는 물은 청계천 복원구간 전체를 600 분의 1 로 축소한 청계천 미니어쳐이다. 광장 앞 분수--- 촛불 형태의 분수와 . 원형의 슈터분수 (shooter ) , 저수호 안으로 떨어지는 2 단 폭포는 야간에 발광다이오드 ( LED ) 조명과 어우러져 환상적인 아름다움을 뽑낸다. 앞 에 보이는 다리는 모.. 되살아 난 청계천 2005.11.18
행주 14 고양 행주문화제 행주대첩은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 김시민 장군의 진주 대첩과 더불어 임진왜란의 3 대 대첩중 하나로 일컬어지며 , 아낙네들이 머리에 흰 수건을 쓰고 행주치마에 돌을 날라 싸움에 임했다고 해서 오늘날 행주산성이라 불리운다. 1593 년 2 월 , 3 만의 왜군이 지금의 고양시 덕양산.. 고양문화축제 2005.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