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번의 두들김이 만든 中 묘족 은장신구
May 30, 2019
광시(廣西) 룽수이(融水) 묘족(苗族)자치현 룽수이마을 아가씨가 묘족 머리장식을 고르고 있다. [사진 출처: 신화망]
[인민망 한국어판 5월 30일] 중국 광시(廣西) 룽수이(融水) 묘족(苗族)자치현에서는 매년 중대한 행사가 있을 때마다 화려하게 꾸민 묘족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들이 착용하는 묘족 은장신구는 머리•목•가슴•손 장식 등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종류와 정교한 세공으로 이목을 집중시키는 볼거리로 자리 잡았다.
묘족 은장신구는 제작 과정이 복잡하고 고난도 작업을 필요로 한다. 평범한 은장식으로 보이지만, 수십 차례의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수백•수천년간 이어진 은세공 장인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지혜를 통해, 묘족 은장식 공예는 대를 이어 계승되고 있다. (번역: 김리희)
원문 출처: 신화망(新華網)
광시(廣西) 룽수이(融水) 묘족(苗族)자치현 룽수이 마을 아가씨 한 명이 묘족 장식품을 착용하고 있다.
광시(廣西) 룽수이(融水) 묘족(苗族)자치현 룽수이 마을 은세공
장인 천쓰셴(陳四先)은 불을 지펴 은장신구를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
광시(廣西) 룽수이(融水) 묘족(苗族)자치현 룽수이 마을 은세공 장인 천즈위안(陳志元•오른쪽)은 불을 지펴 은장신구를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
광시(廣西) 룽수이(融水) 묘족(苗族)자치현 룽수이 마을 은세공 장인 천쓰셴(陳四先)은 은장신구를 만들고 있다.
광시(廣西) 룽수이(融水) 묘족(苗族)자치현 룽수이 마을 은세공 장인 천쓰셴(陳四先)은 은줄을 달구어 장식품을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
광시(廣西) 룽수이(融水) 묘족(苗族)자치현 룽수이 마을 은세공 장인 천쓰셴(陳四先)은 은장신구를 만들고 있다. [
광시(廣西) 룽수이(融水) 묘족(苗族)자치현 룽수이 마을 아가씨 한 명이 은장신구를 보여주고 있다.
'떠오르는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 어린이날 앞두고 저장 창싱현서 ‘민족 한가족’ 행사 개최 (0) | 2019.05.30 |
---|---|
경극 ‘패왕별희’ 리메이크작 관심 집중 (0) | 2019.05.30 |
미역 수확철 맞아 분주한 中 산둥 다친다오섬 (0) | 2019.05.29 |
간쑤서 무용극 ‘실크로드 꽃비’ 창작 40주년 기념 (0) | 2019.05.28 |
中 초여름 칭하이 풍경 (0) | 2019.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