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오르는 중국

중국의 화폐

아람누리 2012. 7. 15. 21:57

 

 

 

중국의 화폐

 

중국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조가비, 곡물, 가축, 직물, 농구 (農具)- (농사를 짓는데 쓰이는 기구) 등의 물품 화폐가 사용.

    

(), () 시대

 

-청동기문명이 발달, 어화 (魚貨), 포화(布貨), 도화(刀貨)등의 주조화폐가 나타남어화는 양식으로서 중요한 건어(乾魚), 포화는 농기구인 괭이나 쟁기를, 도화는 가정용품인 작은 칼을 원형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 그 밖에 사람의 얼굴 모양을 한 의비전(蟻鼻錢) . 의비전은 귀면(鬼面)을 닮기도 한 데서 귀면전이라고도 불렀다.

 

() ~ ()

 

- ()의 시황제는 종래의 포화, 도화 등의 사용을 금지, 원형방공(圓形方孔)의 주화를 채택, 화폐의 통일을 이루었다. ()에 이르러 사주전(私鑄錢)의 유통과 진나라 때 주화의 이용 불편을 이유로, 가벼운 유협전(楡莢錢:콩깍지 모양)을 주조했기 때문에 물가가 등귀하여 경제는 혼란에 빠졌다. 한에서 수()에 이르기까지는 화폐제도의 혼란기였다. 그러나 수많은 개주(改鑄)-(다시 주조함)의 되풀이 속에서도 오수전(五銖錢)이 가장 많이 유통 했기 때문에 이 시기를 오수전 시대라 부르고 있다. 수에서는 종래의 구전(舊錢)을 폐지하고 새 오수전을 주조하여 화폐의 통일을 꾀하였다.

 

()

 

- ()의 고조(高祖)는 개원통보(開元通寶:開通元寶라고도 한다)를 주조하였다. 그 후 도주(盜鑄), 위조(僞造)가 많아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봉천보(乾封泉寶),  건원중보(乾元重寶), 대력원보(大曆元寶),  건중통보(建中通寶) 등의 개주(改鑄)를 하였다.

 

송(宋)

 

- ()의 태조(太祖)는 당의 화폐제도를 본떠, 구리를 소재로 한 송원통보(宋元通寶)를 주조하여 화폐의 통일을  꾀하였다. 태종(太宗) 시대에 태평통보(太平通寶), 순화원보(淳化元寶)가 주조된 이래로, 개원(改元) 때마다 새 화폐를 주조하여 연호(年號)-(임금의 재위연대에 붙이는 칭호)  각인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이 시대에는 무역이 활발하여 해외로의 유출도 많아서, 교역국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이 무렵 교자(交子), 회자(會子)라 부르는 태환지폐(兌換紙幣)가 유통되었는데, 태환준비도 없이 발행되었기 때문에 화폐가치는 하락하고 마침내 불환지폐(不換紙幣)로 탈락하고 말았다.

 

(),  ()

 

-(()에 걸쳐서는 정륭원보(正隆元寶대정통보(大定通寶),  태화통보(泰和通寶),  원정통보 (元貞通寶), 대덕원보(大德元寶) 등 주로 동전이 주조되었다.

다른 시대와 비교해서 화폐의 종류와 주조량이 적었음.

 

() (1368~1662)

 

-()의 태조(太祖)는 대중통보(大中通寶), 홍무통보(洪武通寶), 그리고 성조(成祖)는 영락통보(永樂通寶)를 주조했는데, 이 시기는 지폐와 통보전(通寶錢)의 병존시대(둘 이상이 함께 존재함)였다. , 중국에서는 명말(明末)부터 무역이 더욱 성해져서 멕시코 은(), 에스파냐 은 등이 유입하여 양은(洋銀)의 사용이 많아졌다. 이 시기까지는 주조된 동전이 주로 사용되고, 금, 은, 등은 칭량화폐(稱量貨幣)

 

- (무게를 달아서 그 교환가치를 산출하여 사용하는 화폐)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었다.

1912년의 민국혁명(民國革命) , 국민정부는 1914년 국폐조례(國幣條例)에 의하여 은본위제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1931년 만주사변(滿洲事變)부터 전시태세로 들어갔기 때문에 은본위제도는 실질적 운영이 곤란하게 되어, 1936년 은본위제도를 폐지하였다. 공산당 정권 수립 후 인민은행이 설립되어 인민은행권이 중국 본토에서 유통하고, 타이완 영역 안에서는 타이완 은행권이 유통되고 있다.

 

1차 인민폐

 

  - 1차 인민폐는 혁명전쟁 시기에 사용되던 각 혁명근거지의 화폐를 통일함으로써, 국민당 통치하에서 몇십년간 지속된 통화팽창을 해소하고, 구중국 100여년간에 걸쳐 외화와 금은이 시장에서 유통되고 매매되던 역사를

마감했다. 1차 인민폐는 건국초기에 물가안정과 국민경제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차 인민폐

 

  - 2차 인민폐는 국민경제 회복 시기의 요구에 부응한 화폐개혁의 시행으로 발행되었다. 이 화폐의 발행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전에 다년간 지속된 통화팽창의 영향을 말끔히 없앴다. 2차 인민폐는 중국 최초의 완전한 화폐로 그것은 중국 화폐제도의 건전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3차 인민폐

 

- 3차 인민폐는 경제조정의 요구에 부응하여 발행되었다. 3차 인민폐는 "조정공고충실제고"의 방침을 관철시키고, 위기를 극복하며, 생산을 발전시키고, 국민경제 회복과 재정금융 호전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4차 인민폐

 

  - 국민경제의 발전 수준이 신속히 향상되고, 상품경제가 유례없는 발전을 이룩함으로써, 화폐에 대한 새로운 요구도 대폭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중국은 제 4차 인민폐를 발행하였는데, 이는 상품경제 발전의 요구에 부응하여 유통을 편리하게 하고, 사회주의 사업과 국민경제의 발전을 효율적으로 촉진시켰다.

 

5차 인민폐

 

  - 4차 인민폐도 종이의 질, 단순한 위조방지 처리, 기계판독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남아 있었다.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인민은행은 경제발전과 사회발전의 요구에 부응하여, 1999년 건국 50주년을 기념해서 제 5차 인민폐를 발행하였다.

                                                                     [출처] 중국의 화폐제도 (차이나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