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오르는 중국

‘중국화’를 만나다, 중국 명화 100선④

아람누리 2018. 12. 30. 13:17





               ‘중국화’를 만나다, 중국 명화 100선④




[인민망 한국어판 11월 20일] 중국 전통 예술 가운데 하나인 중국화(中國畫)는 ‘국화(國畫)’라고도 불린다. 국화는 고대 단칭(丹靑)이라 불리며 세계 미술 분야에서 체계를 잡아갔다. 중국화는 내용과 예술 창작을 통해 고대 사람들이 자연, 사회, 정치, 철학, 종교, 도덕, 문예 등 분야에 대한 이해를 표현했다.

중국 회화는 역사가 깊다. 수천 년 넘게 발전해왔고 많은 화가들이 명화를 남겼다. 후세에 남겨진 명화는 예술의 보고(寶庫) 및 세계적인 유산이 되었다. 엄선한 명화 100점을 소개해 본다. (번역: 은진호)

                                                               원문 출처: 인민망(人民網)








        <포도도(葡萄圖)>/서위(徐渭)




                          <하화원앙도(荷花鴛鴦圖)>/진홍수(陳洪綬)





















<추흥팔경도(秋興八景圖)>/동기창(董其昌)

  




<남산적취도(南山積翠圖)>/왕시민(王時敏)

  








<방삼조산수도(仿三趙山水圖)>/왕감(王鑒



                    <강희남순도(康熙南巡圖)>의 일부/왕휘(王翬)




                           <금석추화도(錦石秋花圖)>/운수평(惲壽平)                   




                             <천도봉도축(天都峰圖軸)>/홍인(弘仁)




                             <창취릉천도(蒼翠凌天圖)>/곤잔(髡殘)




                             하석수근도(荷石水禽圖)>/주탑(朱耷)





                            <회양결추도(淮揚潔秋圖)>/석도(石濤)





                              <기인리하도(寄人籬下圖)>/김농(金農)




                                   <취면도(醉眠圖)>/황신(黃慎)





<난죽도(蘭竹圖)>/정섭(鄭燮)

  





                           <적서암도(積書巖圖)>/조지겸(趙之謙)




                                 <삼우도상(三友圖像)>/임이(任頤)





                            <도실도(桃實圖)>/오창석(吳昌碩)




                                          <하(蝦)>/제백석(齊白石)





                                <추임도(秋林圖)>/황빈홍(黃賓虹)





                        <유민도(流民圖)>의 일부/장조화(蔣兆和)





                           전횡오백사(田橫五百士)>/서비홍(徐悲鴻)




                                  <분마도(奔馬圖)>/서비홍(徐悲鴻)




            <강산여차다교(江山如此多嬌)>/부포석(傅抱石) 관산월(關山月)





<장강만리도(長江萬里圖)>의 일부/장대천(張大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