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오르는 중국

‘중국화’를 만나다, 중국 명화 100선②

아람누리 2018. 12. 30. 12:02





                 ‘중국화’를 만나다, 중국 명화 100선②




[인민망 한국어판 11월 8일] 중국 전통 예술 가운데 하나인 중국화(中國畫)는 ‘국화(國畫)’라고도 불린다. 국화는 고대 단칭(丹靑)이라 불리며 세계 미술 분야에서 체계를 잡아갔다. 중국화는 내용과 예술 창작을 통해 고대 사람들이 자연, 사회, 정치, 철학, 종교, 도덕, 문예 등 분야에 대한 이해를 표현했다.

중국 회화는 역사가 깊다. 수천 년 넘게 발전해왔고 많은 화가들이 명화를 남겼다. 후세에 남겨진 명화는 예술의 보고(寶庫) 및 세계적인 유산이 되었다. 엄선한 명화 100점을 소개해 본다. (번역: 은진호)

                                                                원문 출처: 인민망(人民網)





                                   <진금도(珍禽圖)>/황전(黃筌)



                                   <광여도(匡廬圖)>/형호(荊浩)




                         <십육나한도(十六羅漢圖)>의 일부/관휴(貫休)



<관산행여도(關山行旅圖)>/관동(關仝)

  




                                  <하산도(夏山圖)>/동원(董源)





                             <추산문도도(秋山問道圖)>/거연(巨然)




                         <산자극작도(山鷓棘雀圖)>/황거채(黃居寀)




<쌍희도(雙喜圖)>/최백(崔白)

  



                            <독비과석도(讀碑窠石圖)>/이성(李成)








                            <계산행여도(溪山行旅圖)>/범관(范寬)




                             <조춘도(早春圖)>/곽희(郭熙)




                         <계산루관도(溪山樓觀圖)>/연문귀(燕文貴)




                            <오마도(五馬圖)>/이공린(李公麟)





                         <추정희영도(秋庭戲嬰圖)>/소한신(蘇漢臣)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의 일부/장택단(張擇端)




                               <묵죽도(墨竹圖)>/문동(文同)




                             <사매화도(四梅花圖)>/양무구(楊無咎)




                           <고목괴석도(枯木怪石圖)>/소식(蘇軾)




<부용금계도(芙蓉錦雞圖)>/조길(趙佶)

  




                               <화랑도(貨郎圖)>/이숭(李嵩)




                                 <채미도(采薇圖)>/이당(李唐)




                    <소상기관도(瀟湘奇觀圖)>의 일부/미우인(米友仁)




                    <소상기관도(瀟湘奇觀圖)>의 일부/미우인(米友仁)




                               태백행음도(太白行吟圖)>/양해(梁楷)




                    <사경산수도(四景山水圖)>/유송년(劉松年)